블로그&유튜브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서버 설정부터 도메인 등록까지

지식성장 2023. 6. 22. 16:41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워드프레스(WordPress)는 인기 있는 블로그 및 웹사이트 개발 플랫폼으로, 많은 사람들이 콘텐츠를 공유하고 온라인 프레젠테이션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를 통해 자동수입이 들어온다고 해서 흔히 워드프레스를 건물에 비유합니다. 건물(워드프레스)을 올리기 위해서는 땅(서버)이 필요하고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으려면 건물이 올라갈 땅의 주소(도메인)가 확정되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워드프레스를 시작하기 위한 서버 설정도메인 등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서버 설정부터 도메인 등록까지

서버 설정

호스팅 서비스 선택

워드프레스를 호스팅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해야 합니다. 공유 호스팅, 전용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호스팅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고려해야 합니다. 국내에서 많이 이용하는 호스팅 서비스 업체는 '클라우드 웨이즈(Cloudways)' 입니다.

  • 호스팅 (Hosting) : 사업자가 사용자의 홈페이지나 웹 서버 기능을 대행하는 서비스

 

서버 요구 사항

워드프레스의 최적 성능을 위해 서버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PHP 버전, 데이터베이스 지원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 PHP (Hypertext Preprocessor): 동적으로 HTML 데이터를 생성하여 동적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서버측 스크립트 언어이자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출처: 두산백과)
 

워드프레스 설치

호스팅 제공업체의 지원을 통해 워드프레스를 설치합니다. 일반적으로 원클릭 설치 기능이 제공되므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등록

도메인 선택

블로그를 위한 독특하고 적합한 도메인 이름을 선택해야 합니다. 도메인 이름은 브랜드 식별을 위해 중요합니다.

 

도메인 등록

도메인 등록 업체를 선택한 후, 선택한 도메인 이름을 등록합니다. 이는 웹 사이트를 위해 고유한 주소를 제공해 줍니다.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도메인 등록 업체는 '가비아(www.gabia.com)' 입니다.

 

DNS 설정

도메인을 호스팅 서비스와 연결하기 위해 DNS(Domain Name System) 설정을 수정해야 합니다.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마치며

서버 설정과 도메인 등록 단계를 통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이제 웹사이트의 외관과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테마, 플러그인, 사용자 정의 설정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